본문 바로가기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 투자의 의미

by 무슨일이 2023. 1. 4.
반응형

삼성전자의 2023년 첫 투자는 로봇이었다. 의미가 있다 싶고 간단히 내용들 정리용 포스팅. 

 

삼성전자는 21년12월에 로봇사업팀을 만들면서 로봇시장에 진출한다고 했고, 22년 주총에서는 신성장동력으로 로봇과 메타버스를 언급했다. 그사이 내부에서는 로봇사업이 진행 중이었으나 엘지나 현대처럼 m&a나 투자는 없었다. 

그리고 나온 새해첫 투자처로 선택된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전자는 그동안 돌봄 로봇 삼성봇케어를 비롯해 지능형 로봇 볼리, 상호작용 로봇 삼성봇아이, 가사보조 로봇 삼성봇핸디 등의 시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현재 보행보조 로봇 젬스 출시를 준비 중이었다. 

보행보조 웨어러블로봇 젬스는 조만간 공개되지 않을까. 

삼성전자는 제3자 배정방식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 약 10.3%를 보유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삼성전자와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향후 협력 가능성도 높아진다. 단순히 협업이 아닌 보행로봇, 가정용 로봇 등에서 기술협력이 예상된다. 
삼성전자가 요구하는 스펙에 맞추어서 로봇 커스터마이징이나 삼성전자 로봇라인에 공급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카이스트내 연구소에서 분사해 설립된 협동로봇이 강점인 로봇기업이다. 한국 최초 이족보행 로봇 휴봇을 개발해 냈고, 협동로봇, 의료용 로봇, 2족 4족 보행로봇등을 개발 중이다. 

 

삼성전자의 첫 로봇투자가 가지는 의미는 앞으로 더 공격적인 투자도 예상된다. 로봇사업 확장을 위해서 기존 로봇영역 선점한 업체들과 협업도 늘어날 전망이다. 

 

유진투자증권 보고서는 '현대자동차와 보스턴다이내믹스' vs '삼성전자와 레인보우 로보틱스'의 경쟁구도를 통한 로봇 시장 성장 및 규모 확대, 기술 혁신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차는 미국로봇 전문업체 보스턴다이나믹스를 22년 인수 완료했었고, 엘지는 로보스타를 비롯해 웨어러블 로봇 스타트업인 SG로보틱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아크릴, 국내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로보티즈, 미국 로봇개발업체 보사노바 등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의 좀 뒤늦은 로봇산업 투자이지만, 미래먹거리를 로봇으로 보고있다는 삼성의 방향성의 제시이기도 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