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3년에 경기침체를 마주한다는건 거의 다수가 보는 컨센이다.
미국 대형투자은행은 23년 미국의 경기침체를 예상한다. 경기침체로 미연준이 23년말 금리인하로 돌아선다는 의견또한 있다.
소비여력 위축,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이 미국 경제의 위험신호로 꼽힌다.
IMF총재는 23년이 작년보다 힘든 한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EU국가의 절반이 침체에 빠지는 등 세계경제의 3분의 1이 경기 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위기를 기회라고 강조하는것도 맞는데, 그건 현금여유가 많은 경우에 한해서다.
기댈 거는 미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기대감인데, 그리고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료 아닐까?
(경기침체 주요은행 전망)
-제이피모간 : 연말에 마일드 리세션 시작
-골드만삭스 : 간신히 리세션 피함
-뱅크오브 아메리카 : 마일드 리세션 상반기초반에 시작
-모건스탠리 : 경기침체 없음
-바클레이즈 : 봄에 가벼운 경기침체
-웰스파고: 중반부터 시작되는 경기침체
-PNC: 봄부터 시작되는 약한 경기침체
-도이치뱅크: 하반기 경기 침체
반응형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가스 선물 가격추이 및 전망 (0) | 2023.01.04 |
---|---|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 투자의 의미 (0) | 2023.01.04 |
서울 그린벨트 현황, 그린벨트 해제 관련주, 대장주 (0) | 2023.01.02 |
금시세, 은시세 23년 2배이상 오른다? (BY 로버트 기요사키) (0) | 2023.01.01 |
골드만 삭스, 테슬라주가 목표가 $305→$235 하향조정 (0) | 2022.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