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사우디 네옴시티 관련주 23년에 다시 움직일까

by 무슨일이 2023. 3. 4.
반응형

작년 핫했던 테마 중에 하나가 네옴시티관련주

테마주매매는 기대감을 이용하는 게 가장 중요했고, 23년에도 언젠가 네옴시티 관련주가 다시 빛을 좀 보는 구간은 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네옴시티는 공사비 700조정도로 엄청난 대규모 프로젝트이고,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사우디를 방문하기도 했고, 빈살만은 작년 11월 방한해서 여러건의 mou를 체결. 

네옴시티 관련주가 시세 꼭지를 찍은건 저당시였죠. 

 

새로운 기대감이 다시 나올구간은 언제일까? 에 대한 생각을 해봐야 되는데

하나는 윤석열대통령이 사우디 방문을 5~6월 추진 중이라는 이야기. 이건 아직 확실하지 않은 거 같고요. 오피셜로 확실해지면 해당기간 한달전부터 다시 네옴시티 관련주 지켜봐야죠

두번째는 23년의 경우는 실제 수주로 이어지는 종목들이 수혜를 보지 안을까란 생각을 해봅니다. 

 

(참고) 네옴시티 MOU

작년 11월 MOU건들이고요. 기업명단 참고로 가볍게 복습 겸 보시죠. 

 

네옴시티 관련해서 말도 많죠.  국내 건설사들은 단순 수주, 시공을 원하는데 사우디정부는 투자와 시공을 병행하는 파트너를 찾고 있다고도 하죠. 그래서 적극적 사업참여도 꺼리고 있다고도 하고요. 

 

네옴시티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도 국내에서는 의구심을 보이는 상황. 

네옴시티 마스터플랜은 나와있는 상태이고 이제 세부 계획들이 나오기 시작하는 2023년인 거 같습니다. 좋은 계약환경을 건설사들이 이끌어 낼 수 있을지가 중요하겠고요. 

 

 

사우디 네옴시티 모멘텀테마

다른 테마와 달리 네옴시티 테마는 사업범위가 넓다 보니 작년에는 꽤 많은 종목들이 분산되면서 이슈가 되었죠. 

그게 테마의 단점이기도 한 거 같습니다. 미래도시가 하나 건설되는거다보니 다양한 주식섹터가 결합이 되는 식. 네옴시티 관련주가 다시 부각대도 돈이 분산되는 식이죠. 

 

직접적으로 수혜보는게 어딜까? 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게 좋은거 같습니다. 

저는 건설쪽은 초기 수혜 보기 좋다 싶고요. 모듈러주택, 철도

그리고 에너지 쪽은 태양광, 풍력보다는 수소 쪽에 좀 더 관심이 가는 거 같습니다. 빈살만도 수소에 관심이 크고요. 

 

네옴시티관련주는 독자적으로 봐도 좋지만, 정부가 공들이는 UAE, 또 정부가 공들이고 있는 인도네시아 수도이전 건이랑 같이 연계해도 좋은거 같습니다. 

우크라이나 재건이랑도 같이 묶이는 종목이면 더 좋고요. 

 

 

네옴시티 관련주 종목 복습

네옴시티 관련주는 테마성의 특성을 갖추고 있고, 작년에 핫했던 종목으로 다시 집중될 가능성도 있고요. 


-건설 : 한미글로벌, 코오롱글로벌, 인디에프(쌍용건설), 도화엔지니어링,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건축설계 : 유신, 희림
-도로 : 다스코
-모듈러 : 덕신하우징, 에스와이, 범양건영 
-철도 : 현대로템

-수소 : 제이엔케이히터, 에스퓨얼셀, 두산퓨얼셀
-탄소포집 : KC코트렐, 그린케미칼
-태양광 : 에스에너지, 대명에너지

 

-원전 : 두산에너빌리티
-에너지 : 지앤원에너지, SNT에너지, 
-화학 : 롯데정밀화학 

-스마트빌딩 : 네이버, 현대무벡스, 엔텔스
-디지털트윈 : 네이버, 이노뎁 
-스마트팜 : 코오롱글로벌


-UAM : 베셀,  네온테크  
-자율주행 : 모트렉스, 모바일어플라이언스

-문화산업 : sm life design, 에스엠, SM C&C
-바이오 : 유바이오로직스

-피팅밸브 : 비엠티
-강관 : 세아특수강, 세아베스틸,
-전력케이블 : LS전선아시아, 대한전선, 대한광통신
-전력 : 현대일렉트릭
-유리: 국영지앤엠
-시멘트,콘크리트 : 성신양회, 동양파일

-AI,데이터 : 핀텔, 오픈베이스
-5G : 머큐리, 기가레인
-해수담수화 : 시노펙스, 뉴보텍
-의료 : 이지케어텍

 

이 정도 종목 가볍게 복습겸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