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실패라고 하면, 돈만 잃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틀렸다.
돈뿐 아니라 시간도 잃는다. 거기에 가장 중요한 마음까지 심하게 다칠 수도 있다.
그래서 투자든 트레이딩이든 이왕이면 초반엔 쉽게 쉽게 접근하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그 시절엔 본인이 본인에 대해서 너무도 모르기에, 그리고 시장에 대해서는 더 모르기에 그렇다.
어쩌다가 우연히 해외선물 매매쪽으로 기웃하는 분이라면 "하지 마세요"라고 먼저 말해드리고 싶다.
그래도 뭐 하고싶다면 잃도 되는 돈으로만 열심히 해보시라고...
선물매매 쪽은 두 분류로 나뉠 텐데 코인선물, 해외선물인 거 같다. 인원수로는 전자인 코인선물이 압도적으로 많고 이유는 코인하는 분들이 많은데다가 코인선물은 적은돈으로 가능하다. 해외선물 쪽은 1 계약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정돈이 필요하다. 상처받기 쉽다는 뜻이기도 하다.
하고싶은말은 "하지마세요. 조금 더 돈을 굴리는 느리지만 상대적으로 쉬운 방법은 있다"라고 말해드립니다. 그래도 하고 싶다면 경험이 되겠지요.
해외선물 하는법?
-먼저 중요한 거,
해외선물 리딩방은 절대 멀리하십시오. 해외선물은 리딩이 가능한 영역이 아닙니다. 리딩방은 돈 못 버는 분들이 만들어내는 제2의 시장입니다.
-처음은 마이크로 계약부터 시작,
모의매매로 두어달정도 가능성을 엿보고, 실전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모의와 실전은 전혀 다른 영역입니다. 실제 돈이 움직여야지 내 멘털이 감당가능한지 아닌지 알 수 있지요.
해외선물 모의매매 다음은 본계약전에 작은 사이즈로 할 수 있는 마이크로계약부터 무조건 하십쇼. 여기서 두어달해서 가능성이 보인다면 본계약 들어가시면 됩니다.
초반에 적게 다치는 게 해외선물에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일상생활에 지장 안 주기
해외선물 매매의 특성은 퇴근 후 가능한 밤시간 매매라는 특성이지요. 새벽 늦은 시간까지 매매는 오히려 직장생활에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수면의질은 삶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천천히라는 생각 가지기
느려도 됩니다. 정말 느려도 됩니다. 본인 실력에 맞게 천천히만 가십시오. 그러면 됩니다.
급한 마음은 결국 패배로 이어지기 매우 쉽습니다.
해외선물 증거금
-해외선물은 증거금이라는 개념이 있죠. 1 계약을 진입하기 위한 최소금액. 이 금액이 없으면 매매가 안되는 식입니다. 이금액은 변동성따라 종종 바뀝니다.
-나스닥 선물 : 17,380달러
-금 : 7,590달러
-유가 : 7,700달러
-천연가스 : 5,500달러
-유로 : 2,915달러
가장 많이 매매하게 되는 대표상품입니다. 보시다시피 1계약을 들어가기 위해서 나스닥선물은 17380달러가 필요한데 한화로 2100만원선입니다.
적지 않은 돈이지요. 이금액을 다 잃는 데는 일주일이어도 충분할 거 같군요.
주식은 웬만하면 반토막 심하면 반에반토막이지만, 해외선물은 다 잃습니다.
위의 본계약 상품들전에 마이크로 계약 상품들이
나스닥, 금, 유가, 유로 다 있습니다.
마이크로 나스닥 1계약은 200만원선이라 상대적으로 편할 수도 있고요.
주식하는 분들도 거래방법은 알아두시면 좋고요. 헷지개념으로 이용하기에는 좋은 상품입니다. 국내주식하면서 국내인버스레버리지 들어가는 방법도 있지만, 직접 선물로 헷지하는것도 더 좋은 방법이기도 하죠.
해외선물 하는법은 키움증권 사이트에 가시면 해외주식용 계좌개설부터 쉽게 잘 설명이 되어져있습니다. 거래는 영웅문s글로벌로 하시면 되고요.
해외선물 커뮤니티
해외선물쪽는 하는 분들이 많이 없다 보니 매매가 좀 더 외로울 수 있죠.
국내에 관련 커뮤니티가 활성화된 곳은 별로 없죠. 가장 활성화된 곳이 디씨의 해외선물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of
해외선물 쪽은 추후에도 더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양회 일정과 리오프닝 관련주 (0) | 2023.02.10 |
---|---|
2023 wti 국제유가 전망 by 골드만삭스 (0) | 2023.02.09 |
KT AI 믿음 관련주 대장주 알아보기 (0) | 2023.02.09 |
엔비디아 관련주 ai 수혜종목 알아보기 (0) | 2023.02.08 |
희토류 관련주, 미중갈등 관련주 알아보기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