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발표된 미국 고용지표 기록용)
이제는 소비자물가지수 만큼 더 중요한 지표가 된 게 고용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연준이 CPI, 고용지표를 같이 유심히 관찰하겠다고 언급하기도 했었고요.
미국고용지표는 매월 첫째주 금요일밤에 발표가 됩니다.
2월 3일에 발표된 고용지표는 너무 좋았고, 실업률 또한 1969년 이후 역대 최저레벨을 기록
3.4% 수치가 의미하는 건 거의 완전고용상태라고 봐도 될 정도로 미국의 고용시장은 좋다는 거
이것이 의미하는 건??
1) 고용시장이 이렇게 좋으면, 물가를 계속 자극해서 인플레이션의 둔화 속도 기대감이 늦어진다.
2) 미연준은 금리인상을 통해 과열된 고용시장을 잠재우려고 했지만, 고용시장이 이처럼 탄탄하면 당분간 긴축모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3) 고용지표는 소비자물가지수와 함께 미국 금리인상 결정의 주요 지표
4) 고용시장이 침체된다는 건 경기가 꺾인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경우 경기침체의 한복판에서 금리인하 기대감이 생기게 된다
미연준 금리인상->고용시장 둔화->인플레이션 둔화로 이어지면서 긴축중단 시나리오인데,
고용시장이 너무 건강하단건, 좀 더 시장의 해석이 필요하다고 생각 드네요
■ 참고로 미연준 FOMC일정
-2월2일 FOMC (0.25% 금리인상)
-3월22일 FOMC (0.25% 금리인상예정)
-5월3일 FOMC (0.25% 금리인상 및 동결가능성 반반)
-6월14일 FOMC (금리동결)
-7월26일 FOMC (금리동결)
-9월20일 FOMC (금리동결)
-11월1일 FOMC (금리동결)
-12월13일 FOMC (금리동결)
3월 금리인상을 마지막으로 보는 시장이,
5월까지 한번더 이어질 가능성도 충분히 생기는 상황이죠.
미국 고용지표는 계속 지켜봐야겠습니다. 3월 4월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Fear & Greed Index 확인하기 (0) | 2023.02.06 |
---|---|
비트코인 시세 성과 (연도별 자산비교) (0) | 2023.02.04 |
애플페이 관련주 대장주 알아보기, 애플페이 출시일? (0) | 2023.02.03 |
네이버 ai 서치GPT 관련주 알아보기 (0) | 2023.02.03 |
디지털헬스케어 디지털치료제 관련주 알아보기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