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에 따르면 세계인구 30% 정도가 약간의 불면증은 다 앓고 있다죠. 국내에도 불면증 환자는 70만명으로 추정이 되고요. 불면증 치료에는 약물치료도 있지만 최근에는 약이 아닌 디지털기기를 활용해서 불면증 치료에 나서는 곳도 있답니다.
낯설 수도 있지만 디지털헬스케어는 점점 다가오는 현실인 거 같습니다.
비대면진료, AI인공지능, 디지털치료제, 전자약, VR, 신약개발 등등 통합하면서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이 앞으로 커질 예정이죠.
디지털헬스케어 영역에서 디지털치료제 관련주와 근황 요약위주로 살펴볼까 합니다.
세계 디지털치료제 시장은 매년 20% 성장하는 시장이며, 해외에는 디지털치료제 사용중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시장에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23년 조만간 국내 1호 디지털치료제가 나올 예정이며, 그다음으로 계속 쏟아져 나올 예정입니다.
디지털치료제라는 개념이 좀 낯설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디지털치료제는 일반 알약이나 주사가 아닌,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 게임, 또 VR 등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치료제입니다.
특정 질환의 경우는 재활에 긴 시간들이 소요되는데, 그 기간을 누군가 옆에서 간호할 수는 없으니깐요. 디지털치료제를 통해서 환자상태를 체크하면서 환자스스로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셈이죠.
예를 들면 불면증 치료, 공황장애 치료, 만성폐쇄성 폐질환 치료, 알코올장애 등 약보다 좀 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어줄 수도 있는 거고요.
위표는 잘 봐두시면 좋은 표입니다.
식품의약처 국내 디지털치료제 임상승인을 받은 회사는 총 8곳이고 10건이라고 합니다.
△뉴냅스의 뉴냅비전(뇌손상 시야장애 개선) △라이프시맨틱스의 레드필 숨튼(호흡재활) △에임메드의 솜즈(불면증 치료) △웰트의 필로우Rx(불면증 치료) △하이의 엥자이렉스(범불안장애 치료) △뉴냅스의 비비드 브레인(뇌질환 시야장애 개선) △이모코그의 코그테라(경도인지장애 치료) △메디마인드의 알코테라(알코올 사용장애 개선) 등
위기업중에서 국내 1호 디지털치료제로 언급되는 곳이 에임메드, 웰트이며 두 곳 다 불면증 치료제입니다.
두곳은 상장사가 아니고, 상장사인 라이프시멘틱스가 디지털치료제 관련주로는 가장 주목은 받게 되죠. 국내 1호 치료제가 나오면 다음순번으로 라이프시멘틱스의 호흡재활 디지털치료제도 나오게 되니깐요.
SK바이오팜, 한미약품등도 디지털치료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23년은 국산 디지털치료제 허가 신청이 대거 나올 예정이라 관련주들도 여러개 나올 예정이고요.
앞으로 처방이 활발해지기 위해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게 중요할 거 같네요.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페이 관련주 대장주 알아보기, 애플페이 출시일? (0) | 2023.02.03 |
---|---|
네이버 ai 서치GPT 관련주 알아보기 (0) | 2023.02.03 |
STO 증권형토큰 관련주 매매접근법 (토큰증권관련주) (0) | 2023.02.01 |
안철수 관련주, 국민의힘 당대표 전당대회 일정 (0) | 2023.01.30 |
양자컴퓨터 양자기술관련주 대장주 알아보기 (1)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