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미국 FOMC 일정, 한국은행 금통위 일정

by 무슨일이 2022. 12. 4.
반응형

(2023년 미국 FOMC 일정, 한국은행 금통위 일정)

22년의 키워드가 전쟁, 강달러, 금리인상, 인플레이션이었다면, 

23년의 키워드는 고용, 경기침체 여부, 통화정책 완화 속도겠네요. 

 

역대급 가장 강렬했던 22년 금리인상 사이클은 이제 서서히 종료가 될테고요 ㅎ

23년은 국내증권사, 해외 IB 다 증시 저점 한번 더 만나야 된다는 의견이니 조심은 해보고, 현금 여유는 나중에 공포 구간이 올 때까지 일부는 보유해봐야겠죠. 

23년 공포구간에서 잘 매수해서 돈 만드는 행운 잡아봅시다. 

 

한국과 미국은 기준금리 인상 막바지인데, 이제 관심은 최종 금리가 어디까지이고, 

23년도 하반기즈음 부터는 금리인하 기대감도 살살 나올테고요 

한미 기준금리는 역전 상태이고, 내년에도 계속 역전된 상태를 유지할 전망

 

미국 기준금리는 22년12월에 0.5% 올리면 4.5%가 되는데, 최종 금리는 5.0% 전망이 다소 우세한 상황.

4.75%, 5.0%, 5.25%중에서 완료될 예정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3년초에 한번 더 올리고 3.5% 정도가 최종 금리가 될 전망

 

■ 미국 FOMC 일정

 

2023년엔 총8번의 FOMC 일정이 있습니다 

-23년 2월2일(04시) FOMC (0.25% 금리인상예정)
-23년 3월22일(03시) FOMC (0.25%금리인상예정)
-23년 5월3일 FOMC (금리동결)
-23년 6월14일 FOMC (금리동결)
-23년 7월26일 FOMC (금리동결)
-23년 9월20일 FOMC (금리동결)
-23년 11월1일 FOMC (금리동결)
-23년 12월13일 FOMC (금리동결)

 

금리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24년에 접어들어야 가능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며, 23년 하반기 즈음부터는 그런 기대감이 증시에 반영이 되겠지요. 


■ 한국은행 금통위 일정


-23년 1월13일(금) 0.25% 인상 가능성
-23년 2월23일(목) 금리동결
-23년 4월13일(목) 금리동결
-23년 5월25일(목) 금리동결
-23년 7월13일(목) 금리동결
-23년 8월24일(목) 금리동결
-23년 10월19일(목) 금리동결
-23년 11월30일(목) 금리동결

 

주가는 현실을 반영하지 않지요. 많게는 6개월 미래를 미리 선행해서 반영. 

2023년 경기침체는 누구가 예상하고 있는 시나리오인데, 주식시장은 누구나 공감하면 오히려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상한 시장이기도 합니다. 

주가가 반등하는 건 경기침체가 끝날 때가 아니고, 경기침체가 오히려 가장심할때이기도 하고요. 경기침체 이후엔 주가가 강하게 반등하는 기저효과도 있죠. 주식이란 건 항상 그래서 재밌는 거 같습니다. 

 

2023년에 찾아올 비관론에서 우리는 기회를 찾아보아야죠. 

 

버핏은 과거에 “비관적 분위기일 때, 우리는 투자한다. 비관론이 좋아서가 아니라 비관론이 초래한 가격이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이성적인 투자자의 적은 비관론이 아니라 낙관론”이라고 언급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