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일정

by 무슨일이 2022. 11. 8.
반응형

한국은행도 23년 기준금리 발표일 일정이 나왔으니 가볍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은 내년까지 쭉 계속 이어질 수밖엔 없는 상황이고요

11월초기준으로 미국4.0%, 한국3.0%인데 미국과 한국 둘다 여기서 0.75%정도 더 인상 가능성이 높은 상황

-기준금리가 오르는 만큼 대출에 적용되는 금리도 상승할 수밖에 없죠. 영끌과 빛투족은 원리금 상환 부담이 되는거고요. 

신용대출 금리는 현재 연6%를 넘었고, 전세자금대출 5.1%를 넘어있는 상황. 내년초까지는 추가적으로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을 당행할거라 신용대출금리는 7~8.5%까지는 내년초에는 가겠습니다. 

 

-실제로 가계 주담대 원리금 상환 부담은 급증한 상황. 주담대 금리가 현재의 절반 수준이던 1년 전 4억원을 연 4%, 30년 만기로 빌린 가계가 매월 갚아야 했던 원리금은 191만원이었다. 그런데 주담대 금리가 연 9%로 상승하게 되면 매월 322만원을 갚아야 한다.

 

-한국은행은 당장 11월24일에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두 달 연속 기준금리 0.5% 인상할지가 관심인데, 시장은 반반으로 보는 상황입니다. 

 

-한국에서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속도조절론이 조금씩은 나오고 있는 상황이지만, 물가를 보면 0.5% 인상을 해야 된다는 전망

 

-거의 명확한건 한국은행의 최종 기준금리 수준은 3.75%로 전망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발표일

-11월24일(목) 0.5% or 0.25% 인상 가능성


-1월13일(금) 0.25% 인상 가능성
-2월23일(목) ?
-4월13일(목) 금리동결
-5월25일(목) 금리동결
-7월13일(목) 금리동결
-8월24일(목) 금리동결
-10월19일(목) 금리동결
-11월30일(목) 금리동결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은 23년 1월회의에서 종료될수도 있고, 2월회의까지 갈수도 있는 상황

그 이후는 미국과 같은 통화정책으로 금리동결로 23년은 갈 전망

올렸던 금리를 내리는 금리인하 시기는 아무래도 미국 통화정책에 영향을 받을테고, 24년초로 시장은 전망합니다. 

 

이상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일정 살펴보았습니다. 

 

주식하는 입장이지만, 한동안 일부 돈은 예금금리에서도 놀수밖에요. 

주식은 일단 스트레스가 많고 예금은 스트레스가 없다는것. 저축은행과 은행 예적금 금리는 어느덧 5%이상 상품들이 출시되는 상황이지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