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미국 FOMC 일정, 금리인상 경로

by 무슨일이 2022. 11. 7.
반응형

23년 FOMC 회의 일정도 벌써 나왔으니 쓱 한번 보시구요.

회의 일정보다 이제 2023년 하반기 어느 시점부터 금리인하 기대감이 나올지가 중요하겠습니다. 

주식인생 처음으로 미국이 자이언트스텝(0.75%) 금리인상을 4연속 하는걸 함께했네요. 

 

다수의 증권사들이 미연준 등 글로벌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23년 1분기를 기점으로 마무리될 걸로 전망

23년 상반기에도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률이 이어질거라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후 바로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낮은 상황

 

기준금리 인상의 시작은 물가, 마무리는 고용이 정한다

강한 기준금리의 인상은 향후 경기 위축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 고용에도 악영향 가능성. 

 

미국 FOMC 일정 (~23년), 금리인상 경로 

11월 현재기준으로는 0.50%, 0.25% 두번의 금리인상 전망이 우세한 상황. 거기에 추가 금리인상 한방 정도 더 가능성정도. 

 

-12월15일,04시 FOMC (0.50% 금리인상 예정)

 

-2월1일,04시 FOMC (0.25% 금리인상 예정)

-3월22일 FOMC (금리동결 or 0.25%금리인상 가능성도)

-5월3일 FOMC (금리동결)

-6월14일 FOMC (금리동결)
-7월26일 FOMC (금리동결)
-9월20일 FOMC (금리동결)
-11월1일 FOMC (금리동결)
-12월13일 FOMC (금리동결)

 

23년의 관심은 CPI 소비자물가도 중요하겠지만, 고용지표들이 더 중요해지는 한해. 

침체로 이어지냐 아니냐의 문제.

 

올린 금리가 다시 인하되는 시기는 23년 경제상황에 달려있는데, 23년 하반기보다는 24년은 돼야 금리인하한다는 의견이 현재로는 다수. 경제가 생각보다 침체로 들어간다면 23년 하반기부터 금리인하 언급은 많아질 듯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