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건강보험료 조회 와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계산

by 무슨일이 2020. 4. 26.
반응형

 

소득이 발생하면 피해 갈 수 없는 게 세금이랑 건강보험료죠

종합소득의 경우 구간별 애매한 경우에 걸려버리면 세금도 확 띄고, 건강보험료도 확 띄고...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의 경우 

2019년 소득인 종합소득세 신고를 20년 5월에 하게되고, 이렇게 신고한 금액은

20년 11월에 건강보험료로 반영이 되는식입니다 

소득이 전년도에 비해서 늘었다면, 건강보험료도 따라서 늘어나고

소득이 전년도에 비해서 줄었다면, 건강보험료도 따라서 주는 식이죠

다만, 반영이 소득세 신고 몇 개월 뒤라는거죠. 

 

그리고 해당 월의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계산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어디에서 변동이 나왔는지 확인 가능해요 

위의 사진 보시면 2018년 10월에서 2018년11월로 넘어가면서 건강보험료가 확 띄어버렸었는데요 

10월까지는 17만원 내다가, 18년11월에 77만원을 부과하기 시작...

종합소득세 기준으로는 전년 소득을 1년마다 매년 11월이 갱신되는 식이라고 보시면 돼요 

그래서 늦게 반영이 되는 거라 당해의 실질 소득을 반영 못하는 단점도 있기는 합니다 

 

 

◆본인의 건강보험료 조회 사이트

https://minwon.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MENU_WBMCA0412

 

국민건강보험공단 - 사이버민원센터

HOME> 민원신청> 개인민원> 보험료> 4대 사회보험료 계산 4대 사회보험료 계산

minwon.nhis.or.kr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이버민원센터에 방문하시면 되시고, 

메뉴들이 워낙 많은데, 위 링크 타고 가시면 바로 건강보험료 조회 화면으로 가시는거에요 

그리고 부과되었던 금액외로, 다음 달 부과될 금액에 대해서 미리 확인이 가능해요 

미리 건강보험료 계산 금액을 알 수 있어서 좋답니다 

 

위링크 타고 가시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료 조회 화면으로 가시는거고

나의 건강보험료 확인하기 누르시면

공인인증서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컴퓨터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를 선택하시면 바로 조회가 가능해요 

 

 

 

 

 

 

◆나의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계산 확인

이렇게 조회되는 보험료는 세부내역 확인을 클릭하시면, 납부할 보험료의 산정기준도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소득,재산,자동차가 더해져서 건강보험료가 산정되는 식이죠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구요

 

위의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계산내역에서 변화가 이해가 안 된다면

소속지사로 문의 하시면 되세요 

어디에서 무슨 이유로 바뀐건지는 사이트에서 확인이 안 된답니다 

구별로 있는 건강보험공단 지사로 전화하시면 되시구요 

 

위에서 설명드렷듯이 전월 소득이 당해년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하고 당해젼도 11월부터 이게 반영되는 식이에요. 어느정도 후행적이죠 

 

자영업 하시는분의 경우 소득의 경우는 부가세신고한걸로 미리 반영을 시킬 수가 없고, 종합소득세 신고로만 가능합니다. 부가세로도 가능하면 빠른 반영이 가능해서 좋을텐데, 

그러다보니 실질 당해년도 발생하는 소득이랑 건강보험료는 어느정도 괴리는 발행하죠. 전년도 소득이 기준이 되는거니깐요. 

 

자영업자가 휴업,폐업을 하는경우는 소득을 최저치로 바로 반영을 해줍니다

그래서 건강보험료를 많이 내시는분들이 장사가 안 되시면, 차리라 휴업으로 신고해버리는게 나을 수도 있어요 

휴업은 하자마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고하면 최저 소득으로 잡히는거랍니다 

 

 

◆건강보험 검진 대상 확인하기

위 사이트에서 건강보험 검진대상도 확인 가능하십니다

검진대상자는 일반 우편이 날라가는데, 못 받으셨다면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확인 가능하세요 

병원도 잘 안 가시는분들이 건강보험료 꼬박꼬박 내는것도 아쉬움 들잖아요 

무료 검진이라 별것도 없지만 그래도 이거라도 받아야죠 

 

 

◆건강보험료 납부하기

건강보험료 납부관련은 국민건강보험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에서 가능하십니다 

https://si4n.nhis.or.kr/jpza/JpZaa00102.do

역시 공인인증서 로그인 방식이며, 보험료 조회납부 섹션으로 가시면 

밀린게 있으면 확인이 가능하세요 

그동안 납부한것도 언제 낸건지도 확인 가능하시구요 

당월 건강보험료는 보통 25일경에 부과가 되고, 다음달 10일까지가 납부기간입니다 

 

납부는 은행 즉시이체외로 신용카드 납부도 가능하며, 

신용카드의 경우는 분할납부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건강보험료의 경우는 6개월이상 연체가 발생이 되면, 건강보험제한이 가해질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