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카 : 가격 안정화 장치
사이드카는 선물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
선물가격이 전일종가 대비 5% 이상(코스닥은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될 때 발동하며, 일단 발동되면 발동시부터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된다.
참고로 사이드카는 주가지수 선물시장 개설을 계기로 유가증권시장에서는 1996년 11월25일, 코스닥시장에서는 2001년 3월5일 최초로 도입됐다고 합니다.
◆서킷브레이커 : 시장 충격 완화
영어의 첫 글자를 따서 'CB'라고도 한다. 전기 회로에서 서킷 브레이커가 과열된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말하듯,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갑자기 급락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
현물 서킷브레이커는 현물주가가 폭락하는 경우에만 발동하며, 선물 서킷브레이크는 선물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모두 발동된다.
2015년 6월 가격제한폭이 상하 30%로 확대되면서, 서킷브레이커가 3단계로 세분화되었다. 1단계는 최초로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 이상 하락한 경우 발동된다. 2단계는 전일에 비해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3단계는 전일에 비해 20% 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발동
주식시장 개장 5분 후부터 장이 끝나기 40분 전인 오후 2시 50분까지 발동할 수 있으며, 각 단계별로 하루에 한 번만 발동할 수 있다. 다만 3단계 서킷브레이커는 장이 끝날 때까지 발동이 가능하다.
'투자,트레이딩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증시거래시간, 장후시간외거래, 시간외단일가매매 (0) | 2020.06.17 |
---|---|
방산 관련주 대장주 알아보기 (빅텍,휴니드,스페코,한화에어로스페이스) (0) | 2020.06.16 |
세계기업 시가총액 순위 살펴보기 (0) | 2020.06.08 |
다우지수 구성종목, 개장시간, 다우 선물지수 실시간, 100년차트 (0) | 2020.06.07 |
홍콩h지수, hscei지수, 홍콩항셍지수 알아보기 (0) | 2020.06.07 |
댓글